티스토리 뷰

의대 증원 반대로 무기한 휴진에 돌입했던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휴진을 중단하기로 했다. 이들은 환자 피해를 더 이상 둘 수 없다는 이유로 휴진을 철회했지만, 정부의 의료 정책에 대한 저항은 계속할 방침이다. 서울대병원의 휴진 중단 결정이 의료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서울대병원, 휴진 중단 결정

 

서울대병원은 지난 17일부터 의대 증원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에 반대하는 의료계의 요구사항을 정부에 촉구하기 위해 무기한 휴진(응급실·중환자실 등 제외)에 돌입했다. 이는 국내 최대 규모의 대학병원이 집단 휴진에 나선 것으로, 의료계의 저항의 강도를 보여주는 사례였다.

 

하지만 서울대병원 교수들은 21일 휴진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서울대 4개 병원(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서울대병원강남센터) 전체 교수들을 대상으로 향후 휴진 지속 여부를 두고 투표를 진행한 결과, 전체 응답자 948명 중 698명(73.6%)이 '휴진을 중단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의 저항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답했다. 휴진을 지속해야 한다는 의견은 192명(20.3%)에 불과했다.

 

비대위는 휴진을 중단하는 이유에 대해 "당장 지금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피해를 그대로 둘 수 없기 때문"이라면서 "무능한 불통 정부의 설익은 정책을 받아들여서가 아니다"고 밝혔다. 이들은 "전면 휴진 기간에도 미룰 수 없는 중증, 난치, 응급 환자에 대한 진료는 유지해 왔으나, 서울대병원의 특성상 현 상황이 장기화 됐을 때 진료 유지 중인 중증 환자에게도 실질적인 피해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닥칠 의료계와 교육계의 혼란과 붕괴의 책임은 전적으로 정부에 있다"면서 "우리는 저항을 계속할 것이며, 정부의 무책임한 결정으로 국민 건강권에 미치는 위협이 커진다면 다시 적극적인 행동을 결의할 것"이라고 말했다¹. 또 "우리는 정책 수립 과정을 감시하고 비판과 대안의 목소리를 낼 것이며, 이를 위해 의료계 전체와도 연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의료계, 휴진 계획에 신중한 자세

 

서울대병원의 휴진 중단 결정은 의료계에도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서울대병원은 의료계의 선봉장 역할을 해왔기 때문에, 이들의 행보가 다른 병원들의 휴진 여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는 20일 오후 회의를 열고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올특위) 참여 및 추가 휴진 계획을 논의했다. 전의비는 무기한 휴진을 논의하고, 다음 회의에서 구체적 일정 상의하기로 했다.

 

성균관의대 삼성 3개 병원도 전체 교수를 대상으로 20일 설문조사를 시작해 휴진 등을 논의했다. 가톨릭의대 성모병원 교수들도 20일 무기한 휴진 여부에 대해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지 못하고 주말까지 더 의견을 모으기로 했다.

 

이와 같이 전국의 대학병원들에서는 현재 무기한 휴진에 관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으나 쉽게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신중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얼마 전까지 서울대, 세브란스, 아산병원 등 주요 대형병원들이 속속 무기한 휴진을 선언했던 것에 비해 집단휴진 결정에 더 신중해진 모습이다.

 

 의료계의 저항, 어떻게 이어질까?

 

서울대병원의 휴진 중단 결정은 의료계의 저항이 약화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의료계는 정부의 의료 정책에 대한 비판과 대안 제시를 더 강화하고, 범의료계와의 연대를 더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의료계는 정부의 의료 정책이 의료 인력 부족과 질 저하, 의료비 상승 등을 야기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의료계는 의대 증원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가 의료계의 의견을 무시하고 강행된 것이라고 비난하고 있다. 의료계는 정부의 의료 정책이 의료계의 권리와 존엄성을 침해하고, 국민의 건강권을 위협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의료계는 정부의 의료 정책에 대한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반응형